◈ 각 스킨에 맞는 style.css 를 사용하세요. 웹폰트 주소 쓰기가 귀찮으셔서 게시판용으로 모든 스킨에 덮어씌우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그러면 분명히 빠진 부분이 있기 마련입니다. 갤러리에 필요한 부분이 따로 있고 일기장에 필요한 부분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게시판용 style.css 하나로 몽땅 덮어쓰지 마세요. ◈ 관리자 페이지에서 '방명록 형태'에 체크하세요. '글내용볼때 아래에 전체 리스트 기능' 체크하세요. '답글보여주기' 에는 체크하지 마세요!! '간단한 답글 기능 사용' 에만 체크하셔야 합니다. 처음 글을 남기실때 첫 글 (1번)에는 답글이 써지지 않습니다. 제로님이 그렇게 만드셨다고 하네요. 관리자께서 첫글 (1번글)은 써주세요.. 간단한 인사말 정도로.. 2번글부터 손님이 쓰시면 답글을 쓰실수 있습니다. ◈ 색상 수정은 전부 스킨 속의 style.css 파일에서 하시면 됩니다. 배경색을 바꾸시려면 style.css 파일을 열어보시면 이부분이 있습니다. " scrollbar-shadow-color:#BEC0B1;background-color:#E6E7E1} " 여기서 background-color:#E6E7E1 가 배경색 지정하는 부분이에요. 이 곳의 색상을 원하시는 색상으로 수정하시면 됩니다. 다른 부분의 색상까지 바꾸실 경우... 현재 제가 배포한 색상.. #E6E7E1 이라고 되어 있는 모든 부분을 본인이 원하시는 색상으로 수정하시면 됩니다. 라인의 색상도 style.css 에 있습니다. .line1 {~~~~} 어두운색 라인 .line2 {~~~~} 밝은색 라인 .cu {~~~ 이 속에 넣은 색상 코드가 그림자 색상이구요.} .cue{~~~~ 위의 .cu의 색상과 똑같이 해주셔야해요. 글자의 그림자 색상} 그림자 색상이 아닌.. 기본 글자색상 부분은 일반 폰트용 스타일 시트와 바탕체용 스타일 시트에서는 첫 줄... 웹폰트용 스타일 시트에서는 두번째 줄.... body, td, tr, form... 등등.... {~~~~ 이 속에 넣은 색상 코드가 글자의 본래 색상입니다.} 이 부분을 수정하신 배경색과 맞게 원하시는대로 수정하세요. 글쓰는 곳의 넓이 조절은 .width {width:240} 부분부터 수정하시고.. .text {~~~~~~~~~~~ width:100%;height:80} <-- height:80 글쓰는 곳의 높이 width:100% 넓이 .re {~~~~~~ 60%} <-- 리플 박스 넓이 .mtb {~~~~ width:240} <-- 공지박스 넓이 ◈ 일반 폰트를 사용하실 경우엔 현재 style.css 를 그대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 바탕체로 쓰실경우엔 "바탕체용 스타일 시트" 폴더 속의 style.css 를 스킨 폴더 속의 style.css 에 덮어씌우세요. ◈ 웹폰트 적용시엔 "웹폰트용 스타일시트"라는 폴더 속의 style.css 를 스킨 폴더 속의 style.css에 덮어씌우기 하시면 됩니다. (중요!!) 웹폰트를 적용하실때 style.css 내용중... "웹폰트이름" 이라고 쓰여있는 곳만!! 사용하실 웹폰트 이름으로 바꿔주세요. "웹폰트이름" 부분 외의 verdana 또는 tahoma 부분까지 아무렇게나 수정하신 후에 일어나는 오류나 깨짐 현상은 절대로 스킨 제작자의 책임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또,, 적용할 웹폰트의 이름과 웹폰트 경로 등을 적어 넣으신 후에만 웹폰트가 적용됩니다. 웹폰트 적용이 되지 않아요. 라는 질문을 하시기 전에 첫째.. 웹폰트 경로를 확인해보세요. 둘째.. 웹폰트 이름을 확인하세요. (ex: "정9" 로 썼는데 적용이 안될때 "jung9"로도 해보세요.) 셋째.. 웹폰트이름에 jung9.mwf 와 같이 뒤의 확장자명(.mwf)는 쓰지 마시고 jung9 또는 정9 라고 쓰셔야 합니다. 확장자가 반드시 .mwf 인 것은 아닙니다. 구입하신 폰트마다 다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style.css 에서 사용하시려는 폰트에 맞게 .mwf 도 함께 수정해주셔야 되겠죠. ◈ 질문은 http://www.ruvin.net 에 오셔서 "자주 있는 질문게시판(F&A)"부터 확인하시고.. 그 게시판에 없는 질문은 "질문게시판(Q&A)"에 남겨주세요.